매매일지/25년 2월 3

25년 02월 05일 (🔺+7,500,000원)

종목 : BTCUSDT (비트코인) 진입 포지션 : 숏 포지션  진입 사이즈 : 약 8.5억 (레버리지 포함) 손실 감수율 : 3% P&L : 약 +9% ( + 7,500,000원)  [매매복기] 5일 매매 역시 나스닥 개장 전 Summit Trader 1000 데일리 분석에 브리핑 나갔다.브리핑 나간 그대로 매매 실행. 하락추세 진행 중 반등 구간이 진행 중이고 저항구간을 상승돌파 하지 않는 상황에서 하락 모멘텀 구간이 형성된다면 숏 포지션 진입.하락모멘텀 형성된 이후 숏 포지션 진입 스탑로스는 모멘텀 캔들 시가구간.새벽 3시에 익절이 나갔는데 , 원래라면 익절보단 더 홀딩하는 것이 올바른 매매.일단 손익비는 1 : 3 구조라 익절이 가능했지만 , 하락추세가 강한 구간이기에 홀딩하는 것이 더 현명했다.

25년 02월 04일 (🔷 -6,500,000원)

종목 : BTCUSDT (비트코인) 진입 포지션 : 롱 포지션  진입 사이즈 : 약 12억 (레버리지 포함) 손실 감수율 : 5% P&L : 약 - 4.5% ( - 6,500,000원)    [매매복기] 포지션 진입 전 Summit Trader 1000방 데일리 분석을 보면 , 나스닥 개장 전 데이 트레이딩 기준으로 분석.4일 오후 10시 30분 브리핑 올라간 것을 보면, 크게 두가지 전략으로 포지션 진입.1번 : 하락 모멘텀 구간 형성 시 눌림목 숏 포지션 진입.2번 : 99.5k 강하게 상승 돌파한다면 이후 리테스트 자리에서 롱 포지션 진입.결과적으로 시장이 99.5k 구간을 강하게 돌파하여 , 눌려 리테스트 자리에 롱 포지션 진입.그러나 , 약 20분 뒤 강한 하락으로 리테스트를 붕괴시킴.  원래라..

25년 02월 03일 (🔷-7,000,000원 / 🔺+14,000,000원)

종목 : ETHUSDT (이더리움) 진입 포지션 : 숏 포지션  진입 사이즈 : 약 3억 (레버리지 포함) 손실 감수율 : 5% P&L : 약 -5% ( - 7,000,000원)   종목 : BTCUSDT (비트코인) 진입 포지션 : 롱 포지션  진입 사이즈 : 약 12억 (레버리지 포함) 손실 감수율 : 5% P&L : 약 +12% ( + 14,000,000원) [매매복기]1월 20일부터 줄줄이 손절나간 이후 , 설 연휴동안 그간 해왔던 매매를 모두 복기 하면서 ' 시스템에서 문제가 무엇이고 내가 지금무엇을 못하고 있는지 복기했다.  그래서 2월부터 1월달에 진입했던 사이즈보다 키워서 매매를 진행.그래서 그런가 첫번째 이더리움 손절 나간 부분에서 손절구간에 지켜 손절이 나갔는데  손실금이 1월달 전체 ..